본문 바로가기

쎈소식들

2025/03/13(목) 1면 기사 - 중국 ETF 수익률 / 테리픽 10 / 상속세 개정개편안 / 상속세 공제금액

 

 

 

 

 

고만고만 블로그에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출근길에 빠르게 읽을 수 있는

신문 1면기사 소식을

요약해드립니다!!

 

 

 

 

 

 


 

 

 

 

 

 

 

 

 

 

 

 

2025년 3월 13일 목요일

중국 ETF 수익률

 

**중국펀드 수익률 급상승**

국내에 설정된 185개 중국 펀드의 최근 6개월 평균 수익률이 43.56%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한국 투자자들의 중국 본토 및 홍콩 증시 상장 주식 관련 거래액이 7억8200만 달러(약 1조1000억 원)로, 전월 대비 200%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중국 기술주 강세**

전기차, AI, 반도체 등 중국의 기술 선도 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늘어났습니다. 특히 '테리픽10'으로 불리는 10개 주도주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 테리픽 10(Terrific 10)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알리바바 (Alibaba), 징동 (JD.com), 지리차 (Geely Automobile), BYD, 샤오미 (Xiaomi), 텐센트 (Tencent), 넷이즈 (NetEase), 바이두 (Baidu), 메이퇀 (Meituan), SMIC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Corporation)

이 10개 기업은 중국의 주요 기술 및 인터넷 기업들로, 전자상거래, 자동차, 스마트폰, 게임, 검색 엔진,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12. 최근 이 기업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 관련 ETF 수익률 상승**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관련 ETF의 수익률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중국 ETF는 62.8%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주요 ETF 수익률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 H)' ETF: 최근 1개월 동안 51.31% 수익률 기록
'PLUS 심천차이넥스트(합성)' ETF: 34.73% 수익률
'KODEX 차이나심천ChiNext(합성)': 33.99% 수익률
'TIGER 차이나과창판STAR50(합성)': 33.84% 수익률 (890개 ETF 중 최고 성과)
'TIGER 차이나반도체FACTSET': 29.92% 수익률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합성)': 24.79% 수익률
'SOL 차이나태양광CSI(합성)': 20.4% 수익률

 

 

 

 

 

 


**투자 요인과 전망**

중국의 첨단기술 분야 발전, 경기 부양책, 그리고 로봇, 반도체,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 산업에 대한 지원 방안이 투자 열기를 촉진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중국 기업 주식의 추가 상승 랠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긍정적 요인
1. **중국 정부의 부양책**: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대규모 재정 및 금융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기술주 및 신성장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1][2].
2. **딥시크(DeepSeek) 효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기술 발표로 인해 AI, 반도체, 로봇 등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으며, 이는 ETF 수익률 상승을 견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1][3].
3. **미·중 갈등 완화**: 최근 미·중 관계가 다소 완화된 양상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관련 자산에 대한 투자 매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1].

 


## 부정적 요인
1. **단기 변동성 위험**: 중국 증시와 관련 ETF는 최근 급등한 만큼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1][3].
2. **부양책 기대치 조정**: 중국 정부의 추가 부양책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ETF 수익률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2].
3. **글로벌 경제 변수**: 미국 금리 정책,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외부 요인이 중국 증시와 관련 ETF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6].

 


## 전문가 전망
- **장기적 상승 가능성**: 전문가들은 중국 증시가 장기적으로 정상화되며 강세를 보일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주와 신성장 산업 중심으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3][7].
- **단기 조정 가능성**: 단기적으로는 과도한 상승 이후 조정 국면에 진입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1][2].

결론적으로, 중국 관련 ETF는 긍정적인 성장 요인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상승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단기적인 변동성과 정책 기대치 조정 등 위험 요소를 감안한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고만고만 한국경제 1면 중국 뉴스를 요약해드렸습니다!! 퇴직연금으로 중국 ETF 넣을 수 있을면 좋은데요..

 

 

 

 

 

 


 

 

 

 

 

 

 

 

2025년 3월 13일 목요일

상속세 제도 개편안

 


## 상속세 제도 대수술
정부가 75년 만에 상속세 제도를 대폭 개편하기로 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산취득세로 전환**: 2028년부터 현행 유산세 방식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변경됩니다[1].
2. **과세 방식 변경**: 상속인이 각자 물려받은 재산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게 됩니다[1].
3. **공제 확대**: 
   - 자녀공제: 1인당 5억 원으로 확대 (현행 1~6명까지 총액 5억 원)[1]
   - 배우자공제: 10억 원까지 비과세 (현행 5억 원)[1]
4. **다자녀 가구 혜택**: 자녀가 많을수록 더 많은 공제 혜택을 받게 됩니다[1].

 


## 기대 효과
- **세부담 감소**: 예를 들어, 20억 원의 상속재산을 배우자가 10억 원, 자녀 두 명이 각각 5억 원씩 물려받을 경우, 현행 1억3200만 원의 세금이 0원으로 줄어듭니다[1].

 


## 향후 계획
- 정부는 올해 국회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8년 시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2].

이번 개편은 OECD 국가들의 추세를 따르고, 현실을 반영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세수 감소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유산 취득세 도입으로 상속세 부담이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변화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세부담 감소 요인
1. **과세 방식 변경**: 전체 상속재산이 아닌 각 상속인이 받은 재산에 대해서만 과세합니다[1][3].
2. **공제 확대**: 
   - 자녀공제: 1인당 5억 원으로 확대 (현행 5000만 원에서 10배 증가)[3]
   - 배우자공제: 10억 원까지 비과세 적용
3. **누진세 부담 완화**: 상속재산이 분할되어 각 상속인에게 적용되는 세율이 낮아집니다[3].

 


## 구체적 예시
1. **15억 원 상속 사례**:
   - 현행: 자녀 3명이 각 5억 원씩 상속 시, 과세대상 15억 원
   - 개편 후: 각 자녀별로 5억 원이 과세대상, 공제 적용 시 세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 높음[3]

2. **80억 원 상속 사례**:
   - 현행: 배우자와 자녀 2명 상속 시, 약 30억 4000만 원의 상속세 발생
   - 개편 후: 약 23억 2000만 원으로 감소, 약 7억 2000만 원의 감세 효과[2]

3. **20억 원 상속 사례**:
   - 현행: 배우자 10억 원, 자녀 2명 각 5억 원 상속 시, 1억 3200만 원의 세금 발생
   - 개편 후: 세금 0원으로 감소[1]

 

 

 

 

 


## 특징
- 자녀가 많을수록 세부담이 더욱 감소합니다[2].
- 중산층이 주요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2].
- OECD 국가들의 추세를 따르는 조치입니다[1][2].

이러한 변화로 인해 대부분의 상속 가구에서 세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지만, 부의 재분배라는 상속세의 기본 취지를 훼손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3].

 

저희는 다자녀인데.. 이제 돈만 벌면 되겠습니다..